글 수 2,874
대표이사 개인명의로 2억 대출 선수단 임금지급

▲ 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대전시티즌 선수들이 새 유니폼을 입고 팀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신현종 기자>
대전 시티즌의 속앓이가 심해지고 있다.
대전 시티즌 발전시민협의회(이하 시민협)의 구성 등 겉으로는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문제가 전혀 없는 것 같으나 창단 후 최악의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구단에 유입된 운영자금은 계룡건설이 지원한 5억원이 전부다. 급기야 지난달 25일 선수들의 임금 지급을 못할 상황에 놓였고 구단 대표이사가 개인명의로 2억원을 대출, 가까스로 급한 불을 껐다.
2억원은 현재 구단의 자금 흐름을 볼 때 '언발에 오줌누기'에 지나지 않고 또 다시 대출을 받아도 이달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구단 추산으로 이달 말까지 필요한 긴급 자금만 대략 5억4000만원에 이른다. 전남에 지불해야 하는 신진원과 김종현의 이적료 2억원과 신인선수 계약금 1억1500만원, 선수단 임금 1억5500만원, AFC(아시아축구연맹) 리그 출전비 6000만원 등 최소한의 필요 경비가 산적해 있으나 구단의 현 자금상태는 부도 일보 직전이다.
특히 올 구단 전력의 핵을 이룰 신진원과 김종현의 이적료는 원래 지난달 말까지나 전남 구단에 지불해야 되나 겨우 사정을 해 한달간 유예를 얻어 놓은 상태이다.
대전 구단의 자금난은 작년 구단 해체 위기 때는 물론 창단 후 최악으로 특단의 조치가 마련되지 않는 한 시즌 전에 구단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축구팬들은 구단의 자금난은 예견된 일로 대전시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역 업체들의 사심 없는 지원 없이는 사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작년 12월 대전시와 계룡건설이 협약을 맺은 후 진행된 것은 시민협 구성과 기부금 출연업체에 세제혜택을 주기 위한 추진이 전부다.
그러나 세제혜택 부여는 언제 완료될지 불투명하고 작년 부산아시아게임 지원협의회 등 국가적인 사안에만 허가를 내준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불가능한 일에 시간만 허비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기업들도 지정기부금과 광고 선전비 모두가 매출액의 5% 범위만을 비용으로 인정, 똑같은 상황인데 지정 기부금만을 고집하는 것은 책임 회피용 아니냐는 비난의 화살이 쏠리고 있다. 더욱이 당초 약속과는 달리, 연간 입장권 구입과 각종 사업 등을 통해 구단을 지원하겠다고 번복, 구단의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전시는 기업들에게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 마련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기업들의 기부금을 빠른 시간 내에 얻어내 자금을 수혈하고 자체적으로 성의를 보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축구팬들은 "작년 구단 해체 위기 후 겉만 요란하지 자금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며 "조속하게 사태 해결이 이뤄지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이 작년 가을로 다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

▲ 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대전시티즌 선수들이 새 유니폼을 입고 팀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신현종 기자>
대전 시티즌의 속앓이가 심해지고 있다.
대전 시티즌 발전시민협의회(이하 시민협)의 구성 등 겉으로는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문제가 전혀 없는 것 같으나 창단 후 최악의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구단에 유입된 운영자금은 계룡건설이 지원한 5억원이 전부다. 급기야 지난달 25일 선수들의 임금 지급을 못할 상황에 놓였고 구단 대표이사가 개인명의로 2억원을 대출, 가까스로 급한 불을 껐다.
2억원은 현재 구단의 자금 흐름을 볼 때 '언발에 오줌누기'에 지나지 않고 또 다시 대출을 받아도 이달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구단 추산으로 이달 말까지 필요한 긴급 자금만 대략 5억4000만원에 이른다. 전남에 지불해야 하는 신진원과 김종현의 이적료 2억원과 신인선수 계약금 1억1500만원, 선수단 임금 1억5500만원, AFC(아시아축구연맹) 리그 출전비 6000만원 등 최소한의 필요 경비가 산적해 있으나 구단의 현 자금상태는 부도 일보 직전이다.
특히 올 구단 전력의 핵을 이룰 신진원과 김종현의 이적료는 원래 지난달 말까지나 전남 구단에 지불해야 되나 겨우 사정을 해 한달간 유예를 얻어 놓은 상태이다.
대전 구단의 자금난은 작년 구단 해체 위기 때는 물론 창단 후 최악으로 특단의 조치가 마련되지 않는 한 시즌 전에 구단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축구팬들은 구단의 자금난은 예견된 일로 대전시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역 업체들의 사심 없는 지원 없이는 사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작년 12월 대전시와 계룡건설이 협약을 맺은 후 진행된 것은 시민협 구성과 기부금 출연업체에 세제혜택을 주기 위한 추진이 전부다.
그러나 세제혜택 부여는 언제 완료될지 불투명하고 작년 부산아시아게임 지원협의회 등 국가적인 사안에만 허가를 내준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불가능한 일에 시간만 허비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기업들도 지정기부금과 광고 선전비 모두가 매출액의 5% 범위만을 비용으로 인정, 똑같은 상황인데 지정 기부금만을 고집하는 것은 책임 회피용 아니냐는 비난의 화살이 쏠리고 있다. 더욱이 당초 약속과는 달리, 연간 입장권 구입과 각종 사업 등을 통해 구단을 지원하겠다고 번복, 구단의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전시는 기업들에게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 마련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기업들의 기부금을 빠른 시간 내에 얻어내 자금을 수혈하고 자체적으로 성의를 보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축구팬들은 "작년 구단 해체 위기 후 겉만 요란하지 자금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며 "조속하게 사태 해결이 이뤄지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이 작년 가을로 다시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