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874
지역팬들 열기 전국 최고… 구단회생 염시장도 앞장
대전구단은 시민구단일까.
법적으로 따지면 주식회사이지만 요즘 구단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열기를 고려한다면 사실상 시민구단이나 다름없다.
작년 해체위기를 겪었던 일을 돌이켜 보면 격세지감이자 '정말 꿈 같은 일'이라는 것이 시티즌 관계자들이나 축구팬들의 한결 같은 반응이다.
스포츠 열기 최악이라는 오명을 한꺼번에 날려 버린 대전의 광적인 축구 열기 뒤에는 경기장을 찾고 연간회원권을 구입하는 시민들이 큰 힘이 되고 있지만 염홍철 대전시장의 보이지 않는 노력도 컸다.
지난 13일 전주 월드컵경기장에는 이색적인 풍경이 연출됐다. 염 시장이 대전구단의 유니폼을 입고 본부석이 아닌 대전 서포터스석에 자리를 잡고 경기 내내 대전을 응원했다.
광역시의 수장이 원정경기 응원에 나선 것 자체가 이례적인 데다 본부석이 아닌 서포터스석에서 관람을 한 것이 각 구단의 서포터스들에게 전파돼 프로구단을 보유한 다른 지역 단체장들이 고초를 겪기도 했다.
사기업인 프로구단의 경영에 시가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반대를 무릅쓰고 염 시장은 지난해 말 구단 살리기를 선언했다.
그러나 이후 대전 시티즌의 사태는 자갈밭길이었다. 구단에 지원을 약속한 기업들이 행동에 옮기지 않아 최악의 자금난에 봉착했기 때문.
염 시장은 사재를 털어 1000만원을 기탁한 뒤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며 구단 지원을 호소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던가. 충남도시가스의 2억원을 시작으로 크고 작은 기탁과 연간회원권 구입 등 도움의 손길이 이어졌다.
시에서도 반대에 나선 일부 시의원들을 설득, 시 홍보비로 10억원의 구단 지원금을 만들어 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정부 차원에서 대구 FC에게 월드컵 잉여금 중 일부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입수, 문화관광부와 월드컵 조직위 관계자들을 지속적으로 만나 10억원의 지원금을 얻어냈다.
염 시장은 이달 초 대전 시티즌 프런트 및 선수들과 식사를 함께 하면서 "올 시즌 운영자금 걱정은 말고 경기에만 전념해 달라. 올 시즌뿐만 아니라 내년 시즌에도 안정적으로 구단이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보자"고 선수들을 격려했다.
프로축구단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고 구단을 살릴 수 있다는 확신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올 프로축구계 최고의 이슈로 떠오른 대전 시티즌의 돌풍은 염 시장과 시민들의 뒷받침이 있어 미풍으로 그치기는 쉽지 않을 듯싶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
대전구단은 시민구단일까.
법적으로 따지면 주식회사이지만 요즘 구단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열기를 고려한다면 사실상 시민구단이나 다름없다.
작년 해체위기를 겪었던 일을 돌이켜 보면 격세지감이자 '정말 꿈 같은 일'이라는 것이 시티즌 관계자들이나 축구팬들의 한결 같은 반응이다.
스포츠 열기 최악이라는 오명을 한꺼번에 날려 버린 대전의 광적인 축구 열기 뒤에는 경기장을 찾고 연간회원권을 구입하는 시민들이 큰 힘이 되고 있지만 염홍철 대전시장의 보이지 않는 노력도 컸다.
지난 13일 전주 월드컵경기장에는 이색적인 풍경이 연출됐다. 염 시장이 대전구단의 유니폼을 입고 본부석이 아닌 대전 서포터스석에 자리를 잡고 경기 내내 대전을 응원했다.
광역시의 수장이 원정경기 응원에 나선 것 자체가 이례적인 데다 본부석이 아닌 서포터스석에서 관람을 한 것이 각 구단의 서포터스들에게 전파돼 프로구단을 보유한 다른 지역 단체장들이 고초를 겪기도 했다.
사기업인 프로구단의 경영에 시가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반대를 무릅쓰고 염 시장은 지난해 말 구단 살리기를 선언했다.
그러나 이후 대전 시티즌의 사태는 자갈밭길이었다. 구단에 지원을 약속한 기업들이 행동에 옮기지 않아 최악의 자금난에 봉착했기 때문.
염 시장은 사재를 털어 1000만원을 기탁한 뒤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며 구단 지원을 호소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던가. 충남도시가스의 2억원을 시작으로 크고 작은 기탁과 연간회원권 구입 등 도움의 손길이 이어졌다.
시에서도 반대에 나선 일부 시의원들을 설득, 시 홍보비로 10억원의 구단 지원금을 만들어 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정부 차원에서 대구 FC에게 월드컵 잉여금 중 일부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입수, 문화관광부와 월드컵 조직위 관계자들을 지속적으로 만나 10억원의 지원금을 얻어냈다.
염 시장은 이달 초 대전 시티즌 프런트 및 선수들과 식사를 함께 하면서 "올 시즌 운영자금 걱정은 말고 경기에만 전념해 달라. 올 시즌뿐만 아니라 내년 시즌에도 안정적으로 구단이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보자"고 선수들을 격려했다.
프로축구단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고 구단을 살릴 수 있다는 확신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올 프로축구계 최고의 이슈로 떠오른 대전 시티즌의 돌풍은 염 시장과 시민들의 뒷받침이 있어 미풍으로 그치기는 쉽지 않을 듯싶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